![]() | ||
▲ 경기농협이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긴급대책에 나섰다. ⓒ 뉴스윈(데일리경인) |
경상북도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가축질병 위기 대응매뉴얼’에 따른 주의 단계 위기경보가 발령되고 지난 5일 대구에서 접수된 구제역 의심신고가 음성으로 판정되는 등 사태가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경기농협(본부장 김준호)은 지역본부에 경제부본부장을 수반으로 하는 구제역 비상방역 상황실을 설치하고 구제역 도내 유입차단을 위한 강력한 비상방역대책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경기농협은 도내 6곳의 가축시장을 일제히 폐쇄하고 18개 지역축협에 비상방역상황실 설치했다. 또한 축산농가에 소독약 3,300여포 지원하고 270여대의 소독차량, 소독기 등 방역장비를 총동원해 농가순회 소독에 나서기로 했다.
축산농가에 전화와 문자발송을 통한 대대적인 임상예찰은 물론 각종 모임행사나 발생국 해외여행 중단 등의 방역준수사항 홍보도 강화된다. 아울러 사료공장, 동물병원, 도축장 및 가공장 등 축산관련사업장 종사자와 운반차량 운전자 등에 대한 교육, 집중소독을 실시해 자칫 축산종사자가 질병전파의 매개체가 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김준호 본부장은 “더 이상의 구제역 확산은 우리나라 축산업의 몰락을 가져올 수도 있는 재난사태”라면서 “도내 구제역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역기관과 함께 방역대책을 철저히 실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농협은 이와는 별도로 구제역에 대한 잘못된 상식으로 인한 축산물 소비 위축을 타파하기 위해 “구제역은 인체에는 전혀 무관한 가축질병이므로 안심하고 드셔도 된다”는 슬로건으로 한우와 돼지고기 소비촉진 행사를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앞서 경기농협은 지난 1월과 4월 포천과 김포지역에서 구제역 발생한 당시 지역본부에서 1억4천만원, 18개 지역축협에서 3억3천만원 등 총 4억7천만원 상당의 소독약을 지원하는 등 구제역을 조기 종식에 선도적 역할을 한바 있다.
최근 주요기사
* “검찰의 김상곤 경기도교육감 기소는 공소권 남용”
* ‘맷값폭행’ 최철원 직원도 상습폭행, 삽자루와 사냥개까지 동원
* “경기도는 특수교육보조원 지원 예산을 즉각 편성하시오”
* 농협수원유통센터 운영권 놓고 중앙회-수원농협 물밑 다툼
* ‘사상의 은사’ 리영희 선생 타계, 향년81세
* 고속버스 운전기사, 잠든 여대생 차고지에서 버스 불 끈 뒤 성추행
* 박해진 ‘병역기피 의혹’ 제보자 ‘연예계 사람' 논란
*<데일리경인>이 <뉴스Win>(뉴스윈)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태어났습니다.
기사 제보, 보도자료, 취재요청은 언제든지 knews69@gmail.com로 보내 주세요.
고기 말고도 먹을 거리가 얼마든지 있는데, 왜들 고기에 그리 집착들 하시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