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사육장 일제 단속 ‘위반업소’ 17곳 적발
경기도 특사경 “면적 60㎡이상 개 사육시설은 신고대상시설에 포함돼”
![]() | ||
▲ 개 사육시설 내부 철장과 바닦에 고여 있는 가축분뇨. ⓒ 뉴스윈(데일리겨인) |
경기도 광역특별사법경찰(특별사법경찰지원과)은 지난 15~19일 5일간 축산폐수오염을 야기하는 개사육시설의 분뇨 처리 실태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벌여 이중 17곳을 적발했다고 29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이번 단속은 경기도내 면적이 60㎡를 초과하는 개 사육시설 179개소를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이 중 축산폐수 하천 무단 방류 14건, 축산폐수배출시설 설치 미신고 3건으로 위반업소 총 17개소를 적발했다.
도는 이번 단속에서 시설 허가 여부, 축산폐수 무단 방류 등으로 하천을 오염시키는 행위, 축산폐수를 인근 농지에 살포하는 행위 등을 중점적으로 단속했다.
단속에 적발된 업소들 대부분은 사육케이지(철망구조)에 지붕을 설치한 시설에서 개를 사육하면서 분뇨는 퇴비화(톱밥발효) 방법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있었으나, 별도의 퇴비장을 갖추지 않아 퇴비 발효과정에서 악취를 일으켰다. 또한 장기간 사육시 지하수 오염까지 우려됐으며, 기본적인 청소나 소독 역시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었다.
도는 적발된 17곳의 위반 업소에 대해 수사 완료 후 관련 규정에 따라 형사처벌을 진행할 예정이며, 적발 후 동일한 사항을 반복 위반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리·감독할 계획이다.
도 특사경 관계자는 “지난 2007년 9월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개정(시행 2010.9.28)으로 면적이 60㎡이상 개 사육시설은 신고대상시설로 포함되어 행정기관의 관리, 감독권이 미칠 수 있게 됐다”며 단속 배경을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도 특사경은 6월부터 사전 정보 수집활동을 벌이는 등 법 개정이후 시행일 경과에 맞추어 발 빠른 정보수집활동과 수사·단속 활동을 폈다”며 “이를 통해 사업주들에게 사육현황 및 분뇨 처리 현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적정 분뇨 처리시설을 설치토록 지도하고 법규 준수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환경오염과 도민생활 불편이 저감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최근 주요기사
* 농협수원유통센터 운영권 놓고 중앙회-수원농협 물밑 다툼
* “김문수 지사 막말정치에 이명박 대통령 위인 둔갑”
* “김문수 지사는 광교신도시 도청 이전계획을 확정발표하라”
* 김문수 지사 홍보 책자가 대변인실에 ‘쳐 박힌’ 이유?
* “경기영어마을 파주캠프는 부실덩어리”
*<데일리경인>이 <뉴스Win>(뉴스윈)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태어났습니다.
기사 제보, 보도자료, 취재요청은 언제든지 knews69@gmail.com로 보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