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백두산의 분화 징후가 뚜렷하고 폭발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뉴스윈(데일리경인) |
“최근 백두산 천지 아래 2~5㎞ 지점에서 화산 지진이 증가하고 천지 주변의 일부 암벽에서 균열, 붕괴현상이 발생하는 등 분화 징후가 뚜렷하다.”
부산대 윤성효 교수와 이정현 교수가 27일부터 30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에 발표한 논문에서 백두산 폭발 가능성을 경고한 대목이다.
논문에 따르면, 백두산 천지 칼데라 주변의 암석 틈새를 따라 화산가스가 분출해 주변 일부 수목이 고사(枯死)했다. 더구나 지난 2002년 8월부터 1년간 백두산 천지 주변 지형에 대한 GPS 관측 결과 천지 북측의 수평 수직 이동속도가 약 40~50mm/년으로 활발해 졌다는 것이다.
이어 논문은 분화 징후가 뚜렷하며, 백두산이 활동적인 화산이라 언젠가는 분화할 것이 확실하며 그 규모는 지난 4월 아이슬란드 화산폭발보다 10배 가량은 클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정확한 화산 폭발 시기에 대해서는 예측하기 어렵고, 정밀조사가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논문 뿐 아니라 지난 9일엔 백두산(중국 명칭, 장백산) 자락인 연변조선족자치주 안투현(안도현, 安圖縣)에서 강도 3.0 이상의 지진이 하루에 2번이나 발생해 관심을 끌었다.
지진이 발생한 지점은 백두산 천지에서 약 20~30km 정도 떨어진 곳으로 천지 화산구역이다.
한편 지난 9월 28일 기획재정부는 백두산이 겨울철에 분화할 경우 항공운항 중단 등으로 약 25억 달러의 수출 감소 피해가 예상된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기획재정부가 발간한 ‘거시경제안정보고서’는 “자연재해와 관련해서는 기후변화와 별도로 백두산 분화 가능성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면서 “앞으로 관련 동향을 주시하면서 필요시 적절한 대응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재정부는 보고서를 통해 “백두산이 동절기에 분화할 경우 북풍 또는 북서풍을 타고 화산재가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이 경우 수출의 약 25%를 차지하는 항공수출에 차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데일리경인>이 <뉴스Win>(뉴스윈)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태어났습니다.
기사 제보, 보도자료, 취재요청은 언제든지 knews69@gmail.com로 보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