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청개구리 서식지 실태조사·복원 ‘추진’
상태바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실태조사·복원 ‘추진’
  • 김광충 기자
  • 승인 2012.03.04 12: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수원청개구리수컷. 사진 제공 : 김현태(개인 소장작품).

경칩(驚蟄 3월 5일)을 하루 앞둔 4일 경기 수원시(시장 염태영)가 멸종위기종인 수원청개구리에 대한 서식지 보전과 서식실태조사를 통해 최적의 서식환경 조성·보존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혀 주목된다.

수원청개구리는 1980년 수원에서 처음 발견돼 지난 1월말 환경부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새롭게 포함됐고, 기후변화에 민감한 대표종으로 알려졌으며, 짝짓기 울음소리를 ‘꽥꽥’하고 내는 일반 청개구리와 달리 ‘윙-윙-’하고 낮은 소리를 낸다.

특히, 수원청개구리는 전 세계에서 오직 경기만 주변 한반도에만 서식하는 종으로 지명을 이름으로 된 우리나라 유일한 개구리이다.

수원시는 수원의 지명을 갖고 있는 수원청개구리의 서식지 실태조사와 복원에 나서고, 수원지역의 대표적인 깃대종으로 관리해 개체수를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밤밭저수지 주변 지지대 생태 공원(장안구 율전동 소재)의 일부를 오는 12월말까지 수원청개구리 서식지(1,144㎡)로 조성키로 했다.

아울러 시는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보존과 지역농민의 소득증대를 위해 칠보산 인근 농가들과 ‘수원청개구리 보존협약’ 체결도 추진할 계획이다. 협약 내용은 서식지 복원을 위해 산림과 접한 농경지(논)를 활용 무농약·무제초제 재배 계약로 주요서식지를 보호하고, 시가 해당지역의 쌀을 전량 수매하며, 향후 수원청개구리 브랜드 쌀로 등록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수원청개구리는 전 세계적 실천과제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후변화 지표종이며, 수원의 대표적인 깃대종”이라며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복원을 통해 시가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논습지 등 서식지 보존을 통한 CO2감축과 도시농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수원지역의 환경단체도 수원청개구리의 지속적인 보존을 위한 시민홍보, 관련행사 개최 등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시는 수원환경운동센터 등 환경단체와 함께 수원청개구리에 대한 인식증진과 시민 생태모니터링 활성화를 위해 수원청개구리 학교를 개최하고, ‘수원청개구리 종 및 서식지 보존 지원 조례(가칭)’ 제정과 함께 수원청개구리 천연기념물 지정을 위한 시민운동도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수원청개구리 보존의 날(Save the frogs day)를 지정해 수원청개구리 보존의 필요성을 알리는 청개구리 음악회, 수원청개구리 학교, 수원청개구리 캠프 등을 조직해 청개구리 보존운동을 확산시킬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