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붕괴위험 주택 거주민에게 ‘공공임대주택’ 우선 공급
상태바
서울시, 붕괴위험 주택 거주민에게 ‘공공임대주택’ 우선 공급
  • 김광충 기자
  • 승인 2011.12.11 14: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가 무허가건물이나 경사지에 위치해 붕괴위험이 있는 주택 등에서 불안하게 거주하고 있는 시민에게 안전한 공공임대주택을 우선 공급키로 해 주목된다.

서울시는 재난 위험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서울시민들에게 인근에 있는 장기전세주택 등 시가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우선 입주권을 주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11월 9일 종로구 행촌동 소재 무허가건물 세입자를 방문해 거주민들의 안전대책 마련을 지시한 것에 대한 후속 조치다.

행촌동은 국유지내의 무허가 건물로서 D등급 주택 5개소, E등급 주택 2개소가 밀집돼 있어 장마철이 다가오면 인근 주민들이 늘 불안을 느껴온 곳이다

당시 박 시장은 “재난위험시설로 지정된 주택에 대해서는 중장기적으로 대책을 세워야 한다”면서 “안전시설로 지정되면 불편할까 걱정해 본인이 신고를 꺼릴 수 있으니 이웃이라도 바로 신고할 수 있게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특히, 이번 공공임대주택은 지금까지의 재난 발생 사후 주거지원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사전 예방 차원의 주거지원이 이루어진다는 데 의미가 크다.

시는 앞으로 재난 발생 지역에 대한 주거지원을 사후대책 중심에서 사전예방으로 전환해 위험지역 거주자를 사전에 살피고 사고를 예방할 계획이다.

‘공공임대주택’ 입주 대상자는 △재난위험시설 판정(E급·D급) 된 주택 △경사지에 위치해 인근 시설물이 노후화돼 동반붕괴 위험이 있는 주택 △다른 주택 소유하지 않은 공공임대주택 공급 대상자 등 입주요건 세 가지를 모두 충족하는 시민이다.

시는 이 세 요건을 충족한 주택 거주자에 대해 관할 구청장이 대피 또는 철거명령을 선포한 이후 해당 시민이 구청에 신청하면 인근 공공임대주택으로 이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관할 구청장은 이주 조치 즉시 당해 주택을 철거해 사후 관리를 철저히 할 계획이다.

시는 이에 따라 지난번 박 시장이 둘러 본 종로구 행촌동 무허가건물 16명을 우선 인근 공공임대주택에 입주시킬 예정이다.

또한, 25개 자치구를 통해 ‘위험한 주택 거주자’를 추가적으로 파악해 신속히 이주시킬 계획이다.

김윤규 서울시 주택정책과장은 “이번 조치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시정 최우선으로 하는 박원순 시장의 시정 철학을 반영한 것”이라며 “향후 안전사각지대 해소와 예방차원의 주거복지에 만전을 다 하겠다”고 다짐했다.

* 뉴스윈(데일리경인)은 홍재언론인협회 소속 매체로 언론의 사명을 다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말하지 말아야 할 때 말하는 것은 그 죄가 작지만, 말해야 할 때 말하지 않는 것은 그 죄가 크다.”
  (未可以言而言者 其罪小, 可以言而不言者 其罪大.) - 정조(正祖), <<홍재전서(弘齋全書)>>
  기사 제보, 보도자료, 취재요청은 언제든지
knews69@gmail.com로 보내 주세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