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가 무리하게 추진했던 용인경전철 사업 때문에 시끄럽다. 시 재정압박도 가중되고 있으며, 비리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도 시작된 상황이다.
개통 지연과 사업 해지에 대한 책임을 둘러싼 다툼이 소송에서 국제상공회의소 산하 국제중재법원은 지난 4일 “용인시는 시행사(용인경전철)에 5천159억원을 일단 지급하라”는 내용의 1단계 중재판정을 내렸다. 이에 용인시는 시행사인 용인경전철(주)에 공사비 이자로만 하루 6천600만원을 줘야 하는 상태다.
이와 관련 시와 용인경전철(주) 측은 지난 14일 해법 모색을 위한 협상을 진행했으나 별다른 성과 없이 입장차만 확인한 채 끝났다.
양측은 5159억원 가운데 지난 11일까지 4530억원을 우선 지급하고, 629억원은 추후 지급하도록 판정한 내용에 대해 서로의 입장을 제시했으나 타결점을 찾지 못했다.
시는 당장의 재정상황을 감안할 때 빠른 시일내에 상환이 어렵다는 점을 내세웠고, 용인경전철㈜은 대주단(채권단)을 설득하기 위한 명분을 달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경전철 운영에 대한 협의도 별 다른 진전이 없었다. 시는 최소해지시 지급금 상환을 합의해 시가 경전철을 내년 하반기 정도에 인수하더라도, 정상적인 개통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용인경전철(주)의 입장 제시를 요구했다.
이에 용인경전철(주)측은 확답을 피하면서 경전철 사업을 수년간 추진하고,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 상황만 설명하는 데 그쳤다.
더구나 수원지검은 용인경전철 사업과 관련한 비리 의혹에 대해수사에 착수한 상태여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주목된다. 앞서 시민 ㅁ씨는 지난 5일 ‘경전철 차량 구입 과정과 역사 건립, 조경사업 등의 과정에서 제기된 공사비 빼돌리기와 공무원 리베이트 의혹을 규명해 달라’며 고발장을 제출했다.
한편, 지난 2005년 착공한 용인경전철은 민간자본과 국비·시비 등 총1조1278억원을 투입해 올 6월 대부분 공사가 완공됐지만, 운영 손실 분담 문제를 놓고 갈등이 불거져 개통도 하지 못하고 있다.
* 뉴스윈(데일리경인)은 홍재언론인협회 소속 매체로 언론의 사명을 다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말하지 말아야 할 때 말하는 것은 그 죄가 작지만, 말해야 할 때 말하지 않는 것은 그 죄가 크다.”
(未可以言而言者 其罪小, 可以言而不言者 其罪大.) - 정조(正祖), <<홍재전서(弘齋全書)>>
기사 제보, 보도자료, 취재요청은 언제든지 knews69@gmail.com로 보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