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전국 곳곳에서 발생돼 피해를 입힌 사상초유의 정전 사태의 원인에 대해 환경운동연합이 “변화하는 기후조건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퇴행적인 수요예측 시스템과 수요관리의 실패 때문”이라고 지적해 주목된다.
그 근거로 환경운동센터는 지난 5일 방생했던 정전 사태 등과 올 여름 최고로 높였던 전력수요들을 비교해 설명했다.
환경운동센터에 따르면, 지난 5일 정전 사태가 일어날 당시 전력 수요는 6천7백만 kW였다. 그러나 올해 여름 전력수요가 최대로 높았던 날은 8월 31일로 7219만 kW였다. 당시 공급예비력은 544만kW로 공급예비율이 7.5%에 머물렀다.
불과 10일 전인 지난 5일에도 최대전력이 6,659만kW였으며, 공급 예비력이 908만kW, 공급 예비율이 14%에 달했다.
결국 지난 5일과 거의 같은 최대 전력수요인 상태에서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한 것은 공급능력을 갖추고도 전력수요예측을 예년에 맞춰 안이하게 했기 때문이란 지적이다.
또한 환경운동연합은 이미 기상청이 늦더위가 기승을 부릴 것이라고 예고했고, 9월 들어 무더운 날이 계속 됐는데도 과거에 만들어놓은 하절기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대규모의 발전소 예방 정비에 들어간 것이 잘못임을 분명히 했다.
아울러 환경운동연합은 “이번 사태에서도 드러났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정전에 대비한 사전 경고나 예보 시스템이 전혀 갖춰져 있지 않다”면서 “공급량만 늘려서 전력수요에 대응하면 된다는 공급위주의 에너지 정책이 불러온 결과”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원자력발전을 위주로 한 공급위주의 에너지 정책으로는 급변하는 전력수요에 대응할 수 없다”면서 “원전은 기저부하용으로 전력피크에 대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수요를 늘리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공급량 확대에만 치중하는 에너지 정책에서 벗어나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에 맞는 탄력적인 수요관리 대책을 세워야 한다”면서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재생가능한 에너지원 개발 △전력 요금 현실화로 냉난방 시스템 등 전력의존 구조 축소 △에너지 효율성을 확대 등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끝으로 환경운동연합은 “대규모 원전 중심의 전력공급 정책에 의존하여 전력수요를 늘리고 에너지 낭비를 계속하는 한 지금보다 더한 에너지 파국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 뉴스윈(데일리경인)은 홍재언론인협회 소속 매체로 언론의 사명을 다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말하지 말아야 할 때 말하는 것은 그 죄가 작지만, 말해야 할 때 말하지 않는 것은 그 죄가 크다.”
(未可以言而言者 其罪小, 可以言而不言者 其罪大.) - 정조(正祖), <<홍재전서(弘齋全書)>>
기사 제보, 보도자료, 취재요청은 언제든지 knews69@gmail.com로 보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