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의만 무성할 뿐 진척이 없던 이화여자대학교 파주캠퍼스 조성사업이 결국 백지화된 것으로 알려지자 경기도가 유감의 뜻을 표명했다.
경기도는 10일 이화연대 조경원 총무처장이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통해 파주캠퍼스 공식 포기 입장을 털어놓은 것으로 보도된 것에 대해 “이화여대 측으로부터 공식 입장을 통보 받지 못했으나, 만일 사실이라면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경기도는 “그동안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국방부의 높은 토지가격 요구로 이화여대 캠퍼스 유치사업이 사실상 포기상태에 이르렀음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시에서 진행되는 용산 미군기지 공원화 사업과의 형평성 문제도 제기했다.
경기도는 “서울시 용산 미군기지의 공원화 사업의 경우 정부가 조성사업을 전액 국비로 지원하는 데 반해 국가 안보를 위해 희생한 경기북부지역의 미군공여구역의 경우 오히려 높은 토지가격 요구로 인해 이화여대 캠퍼스 유치사업이 무산될 위기에 있다”고 불만을 토론했다.
이어 경기도는 “앞으로 정부는 지난 수십년간 안보의 희생지역인 경기북부 미군공여구역 주변 지역의 발전을 위해 좀더 과감한 지원을 해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이화여대 파주캠퍼스는 파주시 월롱면 영태리 소재 반환 미군기지인 캠프 에드워드 21만9천㎡와 인접 국유지 7만㎡ 등 총 28만9천㎡에 2019년까지 교육·연구단지를 조성하려던 사업이다.
이 사업은 파주시가 2008년 3월 통상 15개월 정도 걸리는 사업승인 절차에 대해 신청 6시간 만에 끝내 ‘파격 행정’ 사례로 주목받은 바 있다.
하지만 문제는 땅값에서 불거졌다. 국방부는 토지가격을 1천750여억원으로 제시한 반면, 이화여대측은 2010년 2월 감정평가된 652억원을 요구해 사업은 더 이상 진척되지 못했다.
* 뉴스윈(데일리경인)은 홍재언론인협회 소속 매체로 언론의 사명을 다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말하지 말아야 할 때 말하는 것은 그 죄가 작지만, 말해야 할 때 말하지 않는 것은 그 죄가 크다.”
(未可以言而言者 其罪小, 可以言而不言者 其罪大.) - 정조(正祖), <<홍재전서(弘齋全書)>>
기사 제보, 보도자료, 취재요청은 언제든지 knews69@gmail.com로 보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