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벌꿀 속 꽃가루(화분)의 농도를 분석해 벌꿀의 순도를 측정, 품질이 우수한 벌꿀을 가려낼 수 있는 새로운 품질검사법이 개발돼 주목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 순도 높은 고품질의 벌꿀 유통도 가능해져 소비자들은 보다 안심하고 벌꿀을 먹을 수 있을 전망이다.
농촌진흥청은 벌꿀 속에 혼입돼 있는 화분의 유전자 진단과 단백질 농도를 분석해 벌꿀의 순도를 측정할 수 있는 ‘벌꿀 혼입화분분석법’을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분석법은 꿀벌들이 일정하게 물어오는 벌꿀 속에 혼입된 화분을 당이 농도별로 구분된 시험관에 넣고 초원심 분리하면 벌꿀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독특한 형태의 띠가 형성되는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띠의 형태에 따라 밀원(벌이 꿀을 빨아오는 원천)을 식별할 수 있고, 띠에서 채취한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유전자 분석을 통해 화분의 혼입여부 판별이 가능하다. 또한 띠에서 채취한 화분의 단백질 농도를 분석해 단일 밀원 벌꿀의 순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분석법을 이용하면 벌꿀 순도 측정을 통해 품질이 우수한 고순도의 벌꿀 판별은 물론 화분의 단백질 농도를 분석해 단일 밀원 벌꿀인지, 다른 밀원의 꿀과 혼합됐는지를 밝혀낼 수 있다.
현재 벌꿀 품질 검사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탄소동위원소측정법은 꿀을 만드는 식물과 설탕의 탄소동위원소비가 다르기 때문에, 꿀벌에게 설탕을 먹이거나 벌꿀에 설탕 또는 물엿 등을 섞으면 어느 정도 섞였는지를 구별할 수 있다.
하지만 이 탄소동위원소측정법의 경우 사탕수수 설탕을 먹여서 생산한 벌꿀은 판별이 가능하지만, 사탕무 설탕을 먹여서 생산한 벌꿀은 꽃에서 채집된 벌꿀처럼 비슷한 탄소동위원소비를 나타내 판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혼입화분분석법은 이러한 탄소동위원소측정법의 단점을 보완해 화분의 단백질 농도를 가지고 사탕무 설탕을 먹여 생산한 벌꿀 등과 같은 다른 밀원의 꿀이 혼합돼 있는지를 판별해 낼 수 있다.
농진청 잠사양봉소재과 최용수 박사는 “벌꿀 혼입화분분석법을 이용하면 벌꿀 농도에 따라 품질 등급 차별화를 부여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벌꿀을 믿고 살 수 있고 양봉농업인들이 고품질 벌꿀 생산을 통해 소득을 증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진청은 벌꿀 혼입화분분석법에 대해 지난 5월 특허출원을 완료했다. 앞으로 이 기술은 한국양봉농협과 한국양봉협회에 이전돼 한국양봉농협의 ‘농협안심벌꿀’과 한국양봉협회의 ‘한 벌꿀’이란 브랜드 벌꿀의 품질검사에 활용될 예정이다.
* 뉴스윈(데일리경인)은 홍재언론인협회 소속 매체로 언론의 사명을 다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말하지 말아야 할 때 말하는 것은 그 죄가 작지만, 말해야 할 때 말하지 않는 것은 그 죄가 크다.”
(未可以言而言者 其罪小, 可以言而不言者 其罪大.) - 정조(正祖), <<홍재전서(弘齋全書)>>
기사 제보, 보도자료, 취재요청은 언제든지 knews69@gmail.com로 보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