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도지사의 이름을 걸고 엄격한 품질기준을 적용해 생산하고 있는 고품격 경기미 G+Rice의 명품화 전략을 추진키로 했다.
지난 2008년부터 출시되고 있는 G+Rice는 잔류농약 등 유해성분 199가지를 식품의약품안전청(KFDA, 식약청) 기준치의 1/2로 차단하고 완전미 비율 97% 이상, 단백질 함량 6.3% 이하의 철저한 품질 관리를 거친 고급 쌀이다.
경기도는 올해 9개 시군 14개소의 혁신단지 4,000ha에서 G+Rice를 생산(18,000톤)하고, 판매처 다변화, 보상금 지급제도 운영, 홍보 마케팅 강화 등 G+Rice의 입지를 강화할 방침이다.
주요 G+Rice 생산 혁신 단지는 용인(900ha), 화성 2개소(700ha), 평택(400ha), 파주(300ha), 김포(300ha), 이천(400ha), 포천 4개소(300ha), 여주(400ha), 연천 2개소(300ha) 등이다.
아울러 경기도는 도내 40여개 E마트, 수원 성남 고양 유통센터 등 수도권 중심이던 판매처를 전국으로 확대한다.
올해부터 전국 140여개 E마트를 비롯해 서울 양재, 창동 유통센터에서도 G+Rice가 판매되며, 고급호텔, 백화점 입점판매를 강화해 프리미엄 쌀로서의 브랜드 파워를 높일 방침이다.
특히, 안전성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실시해 소비자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는 G+Rice 보상금 지급제도도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 제도는 199개 안전성 검사항목 중 1개라도 식약청 기준치의 1/2을 초과하면 1개 항목당 500만원의 보상급을 지급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생산된 G+Rice는 100% 안전성 기준에 합격했으며, 부적합으로 보상한 사례가 단 1건도 없을 정도의 완벽한 품질을 자랑하고 있다.
이미 품질 면에서는 입증을 받고 있지만 프리미엄 경기미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연 5회의 자체 품질 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또한 경기도가 자랑하는 스포츠 스타, 인기 연예인 등을 통한 홍보를 비롯해 지하철, 버스, 언론매체, 포털사이트, 홈쇼핑 등 입체적인 홍보도 펼치고, 한농연 등 농민단체, NGO 등과 협조해 타 지역에서 생산된 쌀이 경기미로 둔갑해 판매되거나 혼합되어 판매되는 행위에 대한 감시와 단속활동도 강화할 방침이다.
경기도 농산유통과 관계자는 “G+Rice 브랜드파워 강화를 통해 농가 소득도 올리고,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최고 품질의 경기미를 공급해 경기미의 위상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데일리경인>이 <뉴스Win>(뉴스윈)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태어났습니다.
기사 제보, 보도자료, 취재요청은 언제든지 knews69@gmail.com로 보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