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우리 품종으로 만든 쌀국수, 쌀쌈 산업화 기반 구축
농촌진흥청은 국수 전용품종인 ‘고아미벼’를 이용한 한국형 쌀국수 개발과 원료곡 생산단지 조성으로 쌀국수 산업의 기반을 구축하고, 새로운 쌀 수요 창출을 위한 쌀쌈(rice paper) 제조방법을 확립했다고 2일 밝혔다.
농진청은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쌀국수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 육성 품종에 대한 국수 가공적성과 품질을 분석한 결과, ‘고아미’ 쌀이 면발 형성이 좋고 식미감 등이 매우 우수해 국수 제조공정 및 품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는 쌀국수의 대표적인 대량 소비처인 학교급식의 경우 조리의 불편함과 식감부족으로 지금까지 크게 활성화되지 못했다.
하지만 ‘고아미’ 쌀로 만든 한국형 쌀국수의 경우 끓는 물에 30초면 조리가 완료되고 조리 후 면발이 불어나지 않아 우리 입맛에 맞는 쫀득한 식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자장면과 소면 등 다양한 요리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현재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학교급식에 보급이 확대되고 있고, 일부 서울지역의 초등학교에서도 ‘고아미’ 쌀을 이용한 쌀국수를 급식으로 제공중이다.
앞서 농진청은 지난해부터 원료곡인 ‘고아미’ 벼의 종자증식과 보급을 시작해 올해는 충남 홍성군과 전남 해남군 등 3개 지역, 총 13ha 규모의 쌀국수 원료곡 생산단지를 조성해 쌀국수 대량생산을 통한 산업화의 기반을 구축했다.
아울러 농진청은 쌀국수와 더불어 새로운 쌀 가공 소재로서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쌀쌈(rice paper)을 대체하기 위해 우리 쌀을 이용한 쌀쌈 제조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또한 아밀로스함량이 높아 쌀쌈 제조에 적합하고 수량성이 높은 밀양 260호를 최근 육성해 우리 쌀을 이용한 쌀쌈 산업화의 기틀을 마련했다.
농촌진흥청 신소재개발과 강항원 과장은 “농촌진흥청은 최고품질쌀과 함께 다양한 기능성 및 가공용 벼 품종 개발에도 전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원료곡의 가격경쟁력과 종자보급의 어려움 등으로 아직까지는 가공용 원료곡 단지 활성화가 미흡하다”면서 “앞으로 가공용 품종을 이용한 쌀 가공 산업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우리 쌀 산업을 살릴 수 있는 블루오션을 찾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 말했다.
*<데일리경인>이 <뉴스Win>(뉴스윈)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태어났습니다.
기사 제보, 보도자료, 취재요청은 언제든지 knews69@gmail.com로 보내 주세요.
저작권자 © 윈뉴스(win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