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2012년 국산품종 보급률 50% 목표로 추진 중
![]() | ||
▲ 농촌진흥청이 수출형 국내 고유 품종으로 육성한 만가닥버섯 ‘해미’ ⓒ 뉴스윈(데일리경인) |
국내 버섯생산량은 연간 19만 톤이며 1인 소비량은 평균 4.5kg으로 매년 생산량과 소비량이 꾸준히 늘고 있다. 또한 2000년대부터 자동화된 대량생산체계로 전환되면서 지난해 버섯 수출액은 4천300만 달러로 급격히 증가했다.
버섯 대량생산과 수출액이 늘면서 로열티 지급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버섯은 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UPOV) 협약에 따라 2009년부터 모든 품종이 개방되면서 2010년에는 46억원의 로열티 지불이 예상된다.
현재 국내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버섯이 재배되고 있으나 이중 팽이, 표고, 느타리, 새송이, 양송이의 생산이 전체의 95% 이상을 차지하며, 특히 팽이, 새송이 등 수출버섯의 상당 부분은 외국품종이 차지한다.
농촌진흥청 버섯과에서는 이러한 국산 버섯품종 육성과 보급에 노력한 결과, 작년에 93호, 올해 88호 농가에 희망하는 16종류 30품종의 새로운 버섯품종을 보급했다.
특히, 올해 가장 많이 보급된 품종은 느타리버섯 ‘청산’, ‘청풍’, ‘구슬’ 순이었는데 '청산'은 고온기로 접어드는 봄철에 재배하기가 좋고 '청풍'은 조직이 치밀해서 저장성이 좋아 추석 전후 가을철에 재배하기 쉽다. 또한 '구슬'은 갓색이 짙어 재배하기가 어려운 수한계통을 대체할 수 있는 좋은 품종으로 평가됐다.
농진청은 2009년 35%였던 국산 보급률을 올해 말까지 40%, 2012년에는 50%를 올릴 방침이다. 국산품종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이제까지 약 9억2천만원의 로열티 절감 효과가 있었으며, 2012년에는 약 22억6천만원의 로열티 절감 효과가 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농진청은 국산 버섯품종의 신속한 보급을 위해 각 지방 도농업기술원, 시·군 농업기술센터, 종균배양소 등과 연계해 보급업무를 추진하고 있으며 농가현장 평가회를 통해 효율적인 버섯 국산품종보급 체계를 확립중이다.
농촌진흥청 버섯과 유영복 과장은 “내년에도 버섯 국산품종의 확대보급을 계속 추진해 나가겠다”면서 “특히 국산품종의 보급률이 낮아 로열티 부담 우려가 가장 높은 팽이버섯, 새송이 등 병재배 수출버섯에 대한 국산품종의 확대보급에 역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데일리경인>이 <뉴스Win>(뉴스윈)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태어났습니다.
기사 제보, 보도자료, 취재요청은 언제든지 knews69@gmail.com로 보내 주세요.
저작권자 © 윈뉴스(win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