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근무자·현업부서공무원·현장공무원·현업근무자·현업공무원이란?
상태바
현장근무자·현업부서공무원·현장공무원·현업근무자·현업공무원이란?
  • 김광충 기자
  • 승인 2009.12.03 01: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안부 질의 회신>  

지방자치단체 업무추진비 집행에 관한 규칙 제3조 별표 제5호 가목의 현업근무자는 같은 직인 경우에도 일반 내근업무 등이 아닌 실제 현장근무를 수행하는 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 개별적인 근무형태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2009. 9)


<현업공무원의 성격>

∙ 복무규정 제5조에서는 ‘직무의 성질상 상시근무체제를 유지할 필요’ 또는 ‘토요일 또는 공휴일에도 정상근무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해 지정이 가능하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상시근무체제” 또는 “휴일의 정상근무”로 대표되는 체계적이고 제도화된 근무형태로써, 일시적인 필요 또는 기관장의 지시에 따른 근무를 의미하지 않음.


<참고>

∙ 토요일 및 공휴일에 근무 후 월요일 또는 다른 날에 휴무하는 것은 복무규정 제3조 내지 제4조에 규정된 대체휴무 또는 근무시간의 변경에 해당됨.
∙ ‘공휴일’의 정의는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제2조에 따라, 일요일, 3․1절, 광복절, 개천절, 1월1일, 설날연휴, 석가탄신일, 어린이날, 현충일, 추석연휴, 기독탄신일, 「공직선거법」에 선거일, 기타 정부에서 지정하는 날을 의미함.


<단체장의 운전기사 및 수행비서의 현업대상자 지정가능 여부>

∙ 현업공무원의 지정에 대해 복무규정 제5조에서는 ‘직무의 성질상 상시근무체제를 유지할 필요’ 또는 ‘토요일 또는 공휴일에도 정상근무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해 지정이 가능하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정상근무라 하면 일시적인 필요에 따른 토요일 또는 공휴일에 정상근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기간 규칙적으로 토요일 또는 공휴일에 정상근무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임.

∙ 따라서, 비서실 직원이나 운전원의 경우에는 업무특성상 토요일 또는 공휴일 근무가 많이 발생하겠지만, 이는 사유가 발생할 경우에 근무를 하는 “초과근무”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하므로 현업공무원으로 지정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