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일부터 KTX 수원역 정차만으론 부족”
수원시, 화성시·오산시와 KTX 서수원역사 추진 공감대 형성
KTX가 오는 11월 1일부터 수원역에 1일 4회(상·하선 8회) 정차한다. 이로써 수원이나 인근 오산, 화성, 용인지역 시민들은 수원역에서 부산역까지 3시간이면 도착할 수 있게 됐다.
이번 KTX 수원역 정차는 그간 수원시민들이 줄곧 KTX역사 유치를 요구해 온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화성·안산·용인·오산지역을 포함 약 400만 이상의 교통수요 잠재인구를 보유한 수원지역이 다른 중소도시의 KTX 역보다 비교우위에 있음을 보연 준 것이다.
하지만 기존 경부선 선로를 이용해 수원역에 정차하는 운행방식(표정속도 150km/h)은 전용선로 KTX(표정속도 250km/h)에 비하여 운행시간이 더 걸릴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선로용량의 부족으로 새마을호의 운행횟수를 줄여 마련한 수원역 KTX 운행횟수(상·하행 8회)도 광명역의 경부선 상·하행 97회, 호남선 상·하행 31회에 비해 현저히 적은 게 현실이다.
이 같은 운행횟수와 소요시간의 격차는 수원권 400만 잠재 교통수요를 감안할 때 KTX 이용객들의 이용 수요와 서비스 만족도를 절대 충족할 수 없어 수원지역에 KTX 전용노선과 KTX 역사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와 관련 수원시는 수원권 지자체들과 함께 수원, 화성, 오산, 안산, 용인 등 경기 남부지역 어디에서나 30분이내 접근가능한 서수원권에 KTX 역사 유치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향후 10년 후 수원권의 미래를 디자인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현재 수원시는 화성시 민간단체 등이 참여하는 공동추진 협의체를 구성하는 논의를 거치고 있으며, 오산시는 수원시의 KTX역사 추진에 지지를 표명하는 등 수원권 지자체들과 KTX 서수원 역사 추진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중이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기관들과의 활발한 협의를 거쳐 사전 예비타당성 검토와 함께 중앙부처에 건의하는 등 KTX 서수원 역사 유치가 성사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면서 “수도권 남부지역 주민들의 KTX 이용편의를 제공함과 아울러 수원권의 지역발전과 경제 활성화를 이루는 초석을 닦아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데일리경인>이 <뉴스Win>(뉴스윈)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태어났습니다.
기사 제보, 보도자료, 취재요청은 언제든지 knews69@gmail.com로 보내 주세요.